🚀 윈도우11 기본 앱, 맘대로 못 지운다고? 깔끔하게 해결하는 완벽 가이드!
목차
- 윈도우11 기본 앱 해제의 필요성: 왜 우리는 기본 앱을 지우고 싶을까?
- 시스템 리소스 낭비와 성능 저하
- 사용하지 않는 앱의 불필요한 공간 차지
- 개인화된 작업 환경 구축의 중요성
- 가장 쉬운 방법: 설정 메뉴를 통한 기본 앱 제거 (제한적)
- '앱 및 기능' 메뉴 접근하기
- 제거 가능한 앱 확인 및 삭제 방법
- 이 방법의 한계: 제거 불가능한 '진짜' 기본 앱들
- 전문가 모드: PowerShell을 활용한 강제 삭제
- PowerShell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기
- 설치된 기본 앱 목록 확인 명령어
- 특정 기본 앱을 제거하는 명령어 사용법과 주의사항
- 고급 사용자 옵션: Dism 명령어를 통한 기본 앱 패키지 제거
- Dism 명령어란 무엇인가?
- 기본 앱 패키지 이름 확인하기
- 프로비저닝된 패키지 제거 명령어 사용법
- 기본 앱 삭제 후 발생 가능한 문제와 대처 방법
- 시스템 안정성 문제와 복구 계획
- Microsoft Store를 통한 재설치 방법
1. 윈도우11 기본 앱 해제의 필요성: 왜 우리는 기본 앱을 지우고 싶을까?
윈도우11을 새로 설치하거나 처음 사용할 때, 마주하게 되는 수많은 기본 앱(Built-in Apps)들은 사용자에게 때로는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대다수의 사용자에게는 불필요한 존재일 때가 많습니다. 이러한 기본 앱들을 제거하려는 이유는 명확합니다.
시스템 리소스 낭비와 성능 저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거나 업데이트를 확인하는 기본 앱들은 알게 모르게 시스템 리소스(CPU, 메모리, 네트워크 대역폭)를 소모합니다. 이는 특히 사양이 낮은 PC에서는 체감할 만한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직접 설치한 필수 프로그램이나 게임의 원활한 구동을 위해서는 불필요한 리소스 낭비를 막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Xbox Game Bar'나 '팁' 앱처럼 사용하지 않는 앱이 메모리를 점유하고 있다면, 당장 제거하는 것이 쾌적한 환경 조성에 유리합니다.
사용하지 않는 앱의 불필요한 공간 차지
윈도우11 기본 앱들은 대부분 설치 용량이 크지 않지만, 수십 개의 앱이 모이면 상당한 저장 공간을 차지하게 됩니다. 특히 SSD 용량이 제한적인 사용자들에게는 1GB라도 아끼는 것이 중요합니다. 'Microsoft Solitaire Collection'이나 'Clipchamp' 같은 앱들은 사용하는 사람에게는 유용할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그저 하드 드라이브의 공간을 축내는 짐일 뿐입니다.
개인화된 작업 환경 구축의 중요성
궁극적으로 사용자는 자신의 필요에 맞게 PC 환경을 개인화하고 싶어 합니다. 윈도우가 제공하는 기본 앱 대신 더 가볍고, 더 기능이 풍부하며, 자신에게 익숙한 서드파티 앱을 사용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합니다. 예를 들어, 기본 '사진' 앱 대신 'ACDSee'나 '꿀뷰'를, 기본 '메일' 앱 대신 'Outlook'이나 다른 메일 클라이언트를 선호하는 사용자에게 기본 앱은 작업 공간의 시각적인 방해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깨끗하고 정리된 시작 메뉴와 앱 목록은 작업 효율성을 높이는 첫걸음입니다.
2. 가장 쉬운 방법: 설정 메뉴를 통한 기본 앱 제거 (제한적)
윈도우11에서 기본 앱을 제거하는 가장 직관적이고 안전한 방법은 '설정' 메뉴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제거할 수 있는 앱이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습니다.
'앱 및 기능' 메뉴 접근하기
- '시작' 버튼을 클릭하거나 키보드의 $\text{Win} + \text{I}$ 키를 눌러 '설정'을 엽니다.
- 좌측 메뉴에서 '앱'을 선택한 후, 우측에서 '설치된 앱' (구 버전에서는 '앱 및 기능')을 클릭합니다.
- 설치된 앱 목록을 확인합니다.
제거 가능한 앱 확인 및 삭제 방법
목록에서 제거를 원하는 앱을 찾습니다. 제거가 가능한 앱의 경우, 앱 이름 우측의 점 세 개($\cdots$) 아이콘을 클릭하면 '제거' 옵션이 나타납니다. 이 옵션을 선택하고 확인을 누르면 일반적인 프로그램처럼 깔끔하게 삭제됩니다. 예를 들어, 'Microsoft Solitaire Collection', 'TikTok', 'Spotify' 등 Microsoft Store를 통해 배포된 일부 기본 앱들은 이 방법으로 쉽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의 한계: 제거 불가능한 '진짜' 기본 앱들
문제는 '카메라', '시계', 'Windows 보안', 'Microsoft Edge' 등 윈도우 운영체제의 핵심 기능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거나, Microsoft가 시스템 안정성을 이유로 제거를 막아둔 '진짜' 기본 앱들입니다. 이러한 앱들은 $\cdots$ 아이콘을 눌러도 '제거' 옵션 자체가 비활성화되어 있거나 아예 보이지 않습니다. 이 경우, 다음 섹션에서 소개할 PowerShell과 같은 고급 도구를 사용해야만 제거가 가능합니다.
3. 전문가 모드: PowerShell을 활용한 강제 삭제
'설정' 앱에서 제거할 수 없는 기본 앱들은 PowerShell이라는 강력한 명령줄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강제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시스템 파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매우 신중하게 진행해야 합니다.
PowerShell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기
- '시작' 버튼을 우클릭하거나 $\text{Win} + \text{X}$ 키를 눌러 '고급 사용자 메뉴'를 엽니다.
- 메뉴에서 '터미널(관리자)' 또는 'Windows PowerShell(관리자)'를 선택합니다. 사용자 계정 컨트롤(UAC) 팝업이 나타나면 '예'를 클릭합니다.
설치된 기본 앱 목록 확인 명령어
먼저, 현재 시스템에 설치된 모든 기본 앱 패키지(AppX Package)의 정확한 이름을 확인해야 합니다. 아래 명령어를 PowerShell 창에 입력하고 $\text{Enter}$ 키를 누릅니다.
$$\text{Get-AppxPackage -AllUsers | Select Name, PackageFullName}$$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앱의 친숙한 이름(Name)과 시스템이 사용하는 정확하고 긴 패키지 전체 이름(PackageFullName) 목록이 출력됩니다. 제거하려는 앱의 PackageFullName을 정확히 복사해 둡니다.
특정 기본 앱을 제거하는 명령어 사용법과 주의사항
이제 복사한 PackageFullName을 사용하여 앱을 제거합니다. 제거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예시: 'Microsoft.ZuneVideo' 앱 제거)
$$\text{Remove-AppxPackage PackageFullName}$$
주의사항: 제거하려는 앱이 현재 사용자에게만 설치되어 있다면 아래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text{Get-AppxPackage -Name Microsoft.ZuneVideo | Remove-AppxPackage}$$
그러나 윈도우11 기본 앱들은 보통 '프로비저닝(Provisioned)'되어 있어 새로 생성될 모든 사용자 계정에 대해 설치되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사용자뿐만 아니라 미래의 사용자 계정에서도 해당 앱이 설치되는 것을 막으려면 다음 섹션의 Dism 명령어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경고: 'Microsoft.Store', 'Microsoft.Windows.ShellExperienceHost' 등 시스템 안정성에 필수적인 앱을 제거하면 윈도우가 오작동하거나 부팅이 불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반드시 제거해도 안전한 앱만 선별적으로 작업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3D Viewer', 'Alarm & Clock', 'Calculator', 'Groove Music', 'Maps', 'Paint 3D', 'Sticky Notes', 'Weather' 등은 비교적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앱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4. 고급 사용자 옵션: Dism 명령어를 통한 기본 앱 패키지 제거
PowerShell을 통해 기본 앱을 제거해도 새로운 사용자 계정을 만들면 해당 앱이 다시 설치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해당 앱이 운영체제 이미지 자체에 '프로비저닝'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면 Dism(Deployment Image Servicing and Management) 명령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Dism 명령어란 무엇인가?
$\text{Dism}$ 명령어는 윈도우 이미지(.wim 또는 .esd 파일)를 서비스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강력한 명령줄 도구입니다. 이 도구를 사용하여 시스템에 설치되기 전의 기본 앱 패키지 자체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기본 앱 패키지 이름 확인하기
$\text{Dism}$ 명령어를 사용하기 전, 시스템에 프로비저닝된 앱 패키지 목록을 확인해야 합니다. PowerShell(또는 터미널) 관리자 권한으로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text{Get-AppxProvisionedPackage -Online | Select DisplayName, PackageName}$$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훨씬 간결한 $\text{DisplayName}$과 시스템이 사용하는 $\text{PackageName}$ 목록이 출력됩니다. 제거하려는 앱의 $\text{PackageName}$을 정확히 복사해 둡니다. (예: Microsoft.ZuneVideo_2023.23070.7.0_x64__8wekyb3d8bbwe)
프로비저닝된 패키지 제거 명령어 사용법
이제 $\text{Dism}$ 명령어를 사용하여 시스템 이미지에서 해당 앱을 완전히 제거합니다. (예시: 'ZuneVideo' 앱 패키지 제거)
$$\text{Remove-AppxProvisionedPackage -Online -PackageName PackageName}$$
$$\text{Dism /Online /Remove-ProvisionedAppxPackage /PackageName:PackageName}$$
(참고: PowerShell 환경에서는 첫 번째 명령어가 더 흔하게 사용되며, $\text{CMD}$ 환경에서는 두 번째 명령어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명령을 실행하면 해당 앱은 시스템 이미지 자체에서 제거되므로, 이후 새로운 사용자 계정이 생성되어도 해당 앱은 자동으로 설치되지 않습니다. 기존 사용자 계정에서 이미 설치된 앱은 PowerShell의 $\text{Remove-AppxPackage}$ 명령어를 통해 별도로 제거해야 합니다. Dism 명령어를 통한 제거는 모든 기본 앱을 깔끔하게 정리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5. 기본 앱 삭제 후 발생 가능한 문제와 대처 방법
기본 앱을 제거하는 것은 PC 관리에 도움이 되지만, 때로는 예상치 못한 부작용을 낳을 수 있습니다.
시스템 안정성 문제와 복구 계획
일부 기본 앱은 다른 시스템 구성 요소나 기능과 상호 의존적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Xbox Identity Provider' 같은 앱을 제거하면 Xbox 관련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른 게임 관련 앱의 작동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만약 기본 앱 제거 후 윈도우의 불안정성이 감지되거나 특정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다면, 가장 먼저 시스템 복원 지점을 통해 이전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기본 앱 제거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시스템 복원 지점을 생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Microsoft Store를 통한 재설치 방법
제거했던 기본 앱이 나중에 필요해진 경우, 대부분의 앱은 Microsoft Store를 통해 쉽게 재설치할 수 있습니다.
- Microsoft Store 앱을 실행합니다.
- 검색창에 제거했던 앱의 이름 (예: 'Windows 계산기', '알람 및 시계')을 검색합니다.
- 앱 페이지로 이동하여 '설치' 버튼을 클릭하면 다시 시스템에 다운로드 및 설치됩니다.
PowerShell이나 Dism 명령어를 사용하더라도, Microsoft Store에 남아 있는 앱 정보는 유지되므로 재설치가 비교적 간단하게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중요한 기본 앱을 제거할 때는 재설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공백 제외 2012자)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삼성 노트북 안전 모드 부팅, 1분 만에 정상으로 되돌리는 완벽 가이드! (0) | 2025.09.30 |
---|---|
"분당컴퓨터 한성노트북수리판매" 전문가에게 맡겨야 하는 이유와 완벽 해결 가이드 (0) | 2025.09.29 |
파주시노트북 중고거래, '먹튀' 걱정 없이 안전하게 하는 완벽 가이드! (0) | 2025.09.29 |
🚨 "이젠 나도 인싸!" 인스타 스토리 링크, 못 걸어서 답답했다면 이 글 하나로 완벽 해 (0) | 2025.09.29 |
놓치기 아까운 인스타 게시물 사진, 완벽하게 저장하는 꿀팁 대방출! (1) | 2025.09.29 |